[대한뉴스=김종필 기자] 김승수의원실 의뢰로 입법조사처가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분석한 결과 , 급격한 신재생에너지 전환정책에 따라 전력계통 운용에 위험이 증대되고 , 2031 년을 전후로 과잉발전으로 인한 대정전이 우려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
김승수 국회의원 ( 국민의힘 , 대구 북구을 ) 이 입법조사처로부터 제출받은 ˹ 에너지 전환 정책에 의한 한전 전력 발전비용 ( 전력수급기본계획 분석 ) ˼ 자료에 따르면 , 2031 년을 전후로 태양광과 풍력발전기 용량이 평균부하보다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 이는 과잉발전으로 인한 대정전 ( 블랙아웃 )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
전력은 저장이 어려워 공급과 수요 연결과 통제가 중요한데 재생에너지는 원전이나 화력발전처럼 생산량을 조절하기 어렵고 , 블랙 아웃은 수요 과잉뿐 아니라 공급 과잉일 때도 발생한다 .
현재 전력수급 시스템상은 신재생에너지는 출력을 조절할 수 없고 통상 수요지 근처에서 이 전기를 소비하고 있다 . 중앙급전발전기를 제어하고 있는 전력거래소는 이를 관측하여 원수요를 차감하고 부하가 줄어든 상태 (peak shaving) 를 관측해서 전력 공급을 조절한다 .
그런데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용량이 과도하게 커지다보니 , 재생에너지에 의해 삭감된 부하가 원자력 등의 기저발전기 용량보다 작아지는 시점이 오는데 , 입법조사처는 이 시기를 2031 년 전후로 전망하고 있다 .
입법조사처가 제 10 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 , 2031 년 태양광 · 평력 발전용량은 72,777MW 로 조사됐다 . 이는 같은 기간 상대적으로 사계절 중 전력 소비량이 적은 봄 · 가을에 필요한 3 만 346MW 의 2 배 , 여름 · 겨울을 포함해 한해 평균으로 계산한 5 만 6109MW 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은 수치다 .
이렇게 되면 과잉공급이된 계통에서 전력 중단 사태가 일어나게 되는데 . 입법조사처는 복잡한 계통 체계의 특성상 어느 부분에 과잉공급이 일어날지 정확히 예측할 수 없으며 , 정전 단위가 클 경우 최대 전국 단위에서의 정전이 일어나는 대정전 ( 블랙아웃 ) 사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
김승수 의원은 “ 문재인 정부의 묻지마식 탈원전 · 신재생에너지 수급정책에 따라서 우리나라의 전력수급 안전성이 파괴됐다 .” 며 , “ 대정전 사태가 현실화될 경우 천문학적인 경제피해는 물론 , 병원 · 소방서 등에 인명피해까지 발생할 수 있다 .” 고 지적했다 .
이어 김 의원은 “ 제 11 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시에는 전력 수요 · 공급을 정확히 계산하고 발전원별 특성을 고려하여 , 과잉발전 등으로 인한 대정전 사태를 미연에 방지해야한다 .” 며 , “ 전력 수급 안전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계획을 전면 재설계 · 재검토해야한다 .” 고 말했다 .
종합지 대한뉴스(등록번호:서울가361호) 코리아뉴스(등록번호:강서라00189호) 시사매거진 2580(등록번호:서울다06981호) on-off line 을 모두 겸비한 종합 매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