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뉴스=오영학 기자] 지난 2021년 작성된 한국남부발전의 연구용역자료에 따르면 원전의 발전단가보다 태양광은 2배, 풍력발전은 3배나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뿐만 아니라 문재인 정부의 신재생에너지의 무리한 확대에 따른 전력수급기본계획으로 인해 원전을 줄이고 LNG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일 경우 전기요금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경고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연구자료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전력공급의 안전성 문제는 해결되기 어려우며, 전력교역이 불가능한 한국의 지정학적 요인으로 신재생에너지 비중의 급격한 확대는 전력 수급 불균형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사실은 국정감사를 위해 한국남부발전에 구자근의원(국민의힘, 경북 구미시갑)에게 제출한 ‘사회적 비용분석을 고려한 발전원별 경쟁력 비교 분석’(2021.3)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밝혀졌다.
문재인 정부 기간인 2021년 작성된 한국남부발전에서 연구용역자료인 ‘사회적 비용분석을 고려한 발전원별 경쟁력 비교 분석’(2021.3) 자료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대한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연구자료는 지난 2020년 12월, 문 정부가 수립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0-2034)에 대해 문제점을 지적했다. 자료에서 “(향후) 유가가 상승하면 전기요금이 매우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가 존재한다. 9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원전과 석탄의 비중이 줄어들고, LNG와 신재생 에너지의 비중이 높아지면 전기요금은 연료비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즉 문 정부가 원전 비중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인 9차 전력수급계획의 경우, 지금과 같은 고유가 시기에는 전기요금 상승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점을 2021년 당시에도 경고한 것이다.
연구자료에서는 태양광은 원전 발전비용의 2배, 풍력발전은 발전비용은 원전의 3배 가까이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연구에서는 국제기구인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의 2020년 9월, ‘2025년 국가별 균등화 발전비용을 산정한 보고서’를 기초로 한국의 발전비용을 산출한 결과 원자력의 경우 50.2원/KWh가 발생한다고 봤다. 반면 대규모 태양광은 원전의 거의 두배에 달하는 90.9원/KWh, 육상풍력은 108.8원/KWh, 해상풍력은 원전 발전비용의 3배에 달하는 155.5원/KWh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뿐만 아니라 연구자체 분석에서도 사회적 외부비용을 포함하더라도 2030년 기준 원자력 발전은 76.99원/KWh, 대규모 태양광은 87.44원/KWh, 육상풍력 105.19원/KWh, 해상풍력은 140.58원/KWh으로 분석했다.
연구자료에 따르면 “현 정부(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은 (중략) 태양광과 풍력과 같은 친환경 에너지의 발전비중을 확대시키고, 석탄과 원자력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비용이 낮아진다 할지라도 인위적으로 조절하기 어려운 자연현상에 기인하는 신재생에너지가 갖는 본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계통안전성 문제는 구조적으로 해결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독일의 경우 유럽내 주변국들과의 전력교역을 통해 (전력공급의) 계통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빠르게 증대시킬 수 있었다”며 “하지만 한국은 지정학적 요인으로 전력교역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에서 단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급격하게 확대할 경우 전력 수급불균형을 포함한 다양한 문제들이 초래될 수 있다”고 짚었다.
구자근 의원은 “전기를 생산해 한전에 공급하는 발전사의 연구자료에서도 경제성과 전기공급 안전성을 무시한 문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비판하고 있다”며 “향후 탄소중립과 미래에너지 확보차원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늘여가되 경제적 비용과 사회적 부담을 냉철히 분석해 국민과 산업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종합지 대한뉴스(등록번호:서울가361호) 코리아뉴스(등록번호:강서라00189호) 시사매거진 2580(등록번호:서울다06981호) on-off line 을 모두 겸비한 종합 매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