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뉴스=김남규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와 KOTRA(사장 강경성), 한국전기산업진흥회(이하 KOEMA)는 이달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일렉스 코리아(ELECS KOREA 2025)’와 연계하여 K-그리드 수출상담회를 운영한다. 이번 행사는 호황기를 맞은 글로벌 전력산업과 발맞추어 우리나라의 우수한 전력, 발전, 신재생에너지 기자재의 수출 도약을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한뉴스](/news/photo/202502/348756_242862_3523.jpeg)
일렉스 코리아는 산업부가 주최하고 KOEMA가 주관하는 우리나라 대표 전기산업 전문전시회로 기존 한국전기산업대전·발전산업전(SIEF·PGK)으로 알려진 전시회가 새로운 이름으로 태어났다. K-그리드 수출상담회장에서는 해외기업 27개국 50개사가 방한하여 12일부터 양일간 전시장에서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AI와 같은 에너지 집약 산업의 성장과 냉난방 수요 급증에 따라 글로벌 전력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연초부터 다수의 해외 바이어가 전력·기자재·에너지 분야의 우수한 한국 기업들을 방문하고 있다. 금번 일렉스 코리아에도 33개국 117개 바이어가 참가를 신청하며 K-그리드에 대한 높은 관심과 기대를 보였고, 그 중 거래 가능성, 수요 품목 적합도 등을 기준으로 50개 사를 최종 선정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에서는 대규모 도시개발사업과 연계한 전력 인프라 건설을 위해 주요 바이어들이 방한했다. 글로벌 사우스 핵심국가인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서는 국가 전력망 확충계획에 대응하기 위한 파트너를 찾고 있다. 인도네시아 전력공사 자이날 아리핀(Zainal Arifin) 신재생에너지본부 부사장은 “한국은 스마트그리드와 에너지 전환 기술에서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재생에너지와 전력 시스템 개발 협력에 기대감을 표명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4년 기준 글로벌 전력 수요가 약 4% 증가하며 17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전력 공급 시스템 확충이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데이터센터, 전기차 등 신산업 성장이 가속화된 미국과 경제성장, 산업화가 이루어지는 동남아와 중동을 중심으로 관련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선도국과 유사 수준의 기술경쟁력을 보유한 우리나라 그리드 산업의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이번 K-그리드 수출상담회는 올해 KOTRA에서 추진하는 첫 번째 해외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라며 “수출 기업의 어려운 상황을 감안하여 더 많은 기업이 실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국내·외 수출상담회 개최를 전년도 190회에서 금년도 200회로 확대하여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종합지 대한뉴스(등록번호:서울가361호) 코리아뉴스(등록번호:강서라00189호) 시사매거진 2580(등록번호:서울다06981호) on-off line 을 모두 겸비한 종합 매체입니다.